투자

청년들의 늦은 사회 진출,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

에듀밸류 2025. 5. 30. 08:00

한국 청년들은 왜 타 선진국보다 늦게 경제활동을 시작할까?

대한민국은 고학력 사회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학 진학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며, 많은 청년들이 대학 입학을 위해 재수·삼수를 선택합니다. 또한, 대학 생활 중 휴학을 하는 비율도 높아 학업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 군 복무 의무까지 더해지면서, 한국 청년들은 타 선진국보다 늦게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개인의 선택 문제가 아니라, 국가 경제와 노동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청년층의 경제활동 시작 시점이 늦어지면 기업들의 인력 수급 문제, 국가 경쟁력 저하, 노후 대비 어려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병역제도(사잔출처-OBS뉴스)

 

1. 한국의 높은 대학 진학률과 재수·삼수 문화

✔️ 대학 진학률 세계 최고 한국의 대학 진학률은 80% 이상으로, 미국(56%), 독일(35%)보다 훨씬 높음
✔️ 재수·삼수 문화 대학 입학을 위해 수년을 투자하는 경우가 많아 노동시장 진입이 지연됨
✔️ 휴학 증가 취업 준비, 자격시험, 어학연수 등으로 학업 기간이 길어짐

 

한국에서는 대학 입학이 사회적 성공의 필수 조건처럼 여겨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학생들이 재수·삼수를 선택하며, 대학 입학 후에도 취업 준비를 위해 휴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시기가 점점 늦어지고 있습니다.

 

 

2. 군 복무 의무와 사회 진출 지연

✔️ 의무 복무로 인해 최소 1 6개월~2년간 경제활동 공백 발생
✔️ 복무 후 복귀 시 학업 단절 문제 → 20대 초반에 학업을 중단하고 군대에 다녀오면 학습 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음
✔️ 타 선진국 대비 군 복무 부담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등은 모병제로 운영되며, 청년층이 군 복무로 인해 사회 진출을 늦추지 않음

 

군 복무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경쟁력과 노동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특히, 한국은 징병제를 유지하고 있어 청년층이 최소 1 6개월~2년간 경제활동에서 이탈하게 됩니다. 이는 기업들의 인력 수급 문제를 심화시키고, 청년층의 경제적 자립 시점을 늦추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노동시장 진입 지연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 총 근로 기간 단축 경제활동을 늦게 시작하면 누적 소득이 줄어듦
✔️ 연금 수령액 감소 노동시장 진입이 늦어지면 국민연금 가입 기간도 줄어들어 노후 연금이 감소할 가능성이 큼
✔️ 노후 대비 자산 형성 어려움 젊은 시절 경제활동 기간이 짧으면 투자와 저축할 시간이 부족해 노후 대비가 어려워질 수 있음


대한민국 청년층의 늦은 노동시장 진입은 개인의 경제적 불안정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모병제로 해결할 수 있을까?

✔️ 청년층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의무 복무가 사라지면 청년층이 더 빠르게 노동시장에 진입
✔️ 학업 연속성 유지 군 복무로 인한 학업 공백이 사라지며, 학습 능력 유지 가능
✔️ 경제 성장에 기여 노동시장에 빠르게 진입하면 기업 인력 수급이 원활해지고 국가 경제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큼


모병제는 단순한 병역제도 개편이 아니라, 대한민국 경제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정책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