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저성장국가 6편] 트럼프 2기 관세 정책,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

에듀밸류 2025. 6. 13. 08:00

2025년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을 선언하며, 전 세계 수입품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한국을 포함한 약 60개국에는 최대 50%의 추가 관세를 적용하는 새로운 무역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한국의 주요 수출 산업에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핵심 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트럼프 관세정책 영향


한국 수출 산업의 위기

1. 반도체 산업

한국의 대표 수출 품목인 반도체는 미국의 15~25% 관세 부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기업들은 미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하락을 우려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2. 자동차 산업

미국은 한국산 자동차와 부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현대자동차와 기아 등은 미국 내 판매 감소와 함께 생산 전략의 재조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3. 철강 산업

철강 제품에도 25%의 관세가 적용되면서, 포스코 등 철강 기업들은 수출 감소와 함께 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습니다.


경제 지표의 악화

2025년 5월 현재, 한국의 수출은 전년 대비 2.4% 감소했으며, 특히 대미 수출은 14.6%나 급감했습니다.

이러한 수출 감소는 국내 생산과 고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경제 성장률 전망도 하향 조정되고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의 대응 전략

1. 미국 내 생산 확대

일부 한국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 시설을 확대하여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 대체 시장 개척

동남아시아, 유럽 등 다른 시장으로의 수출 다변화를 통해 미국 시장 의존도를 줄이려는 노력이 진행 중입니다.

3. 기술 혁신과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기업들은 기술 혁신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장기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는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문제입니다. 한국은 단기적인 대응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산업 구조 개편과 무역 전략 수립을 통해 이러한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https://eduvalue.tistory.com/entry/%EC%A0%80%EC%84%B1%EC%9E%A5%EA%B5%AD%EA%B0%80-5%ED%8E%B8-%E2%80%9C%EA%B2%BD%EC%A0%9C-%EB%B6%88%ED%99%A9-%EB%81%9D%EB%82%BC-%EB%A7%88%EC%A7%80%EB%A7%89-%EC%B9%B4%EB%93%9C-%EC%A0%95%EB%B6%80-%EC%A0%95%EC%B1%85%EC%9D%B4-%EC%A0%95%EB%A7%90-%ED%9A%A8%EA%B3%BC-%EC%9E%88%EB%8A%94%EC%A7%80-%EB%94%B0%EC%A0%B8%EB%B4%A4%EC%8A%B5%EB%8B%88%EB%8B%A4%E2%80%9D